2025년 8월, 통일교 한학자 총재의 금고에서 거액의 현금 다발이 발견되며 정치권과의 유착 의혹이 다시금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 특히 ‘관봉권’이라는 국가기관이 검수한 지폐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은 단순한 현금 보유를 넘어선 신뢰성과 조직적 자금 흐름을 암시합니다. 이 사건은 종교단체의 자금 운용 투명성, 정치권과의 연결, 그리고 제도적 허점까지 복합적인 문제를 드러냅니다. 일본 통일교 해산 사례와 비교하면, 한국 역시 종교와 정치의 경계를 재정립할 시점에 도달한 듯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통일교 사건의 핵심 쟁점과 관봉권의 의미, 그리고 시사적 해석을 통해 구조적 문제를 짚어봅니다. 종교가 신앙을 넘어 권력의 도구가 될 때, 우리는 어떤 사회적 위험을 마주하게 될까요?
📚 목차
- 사건 개요: 통일교 금고에서 발견된 현금
- 관봉권이란 무엇인가?
- 정치권과 통일교의 연결고리
- 종교단체 자금 운용의 불투명성
- 일본 사례와 한국의 시사점
- 제도 개선을 위한 제언
1. 사건 개요: 통일교 금고에서 발견된 현금
2025년 7월,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통일교 천정궁을 압수수색하며 한학자 총재의 금고에서 수십억 원대의 현금 다발을 확인했습니다. 이 중 일부는 ‘관봉권’으로 추정되며, 일본 엔화와 미국 달러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통일교 측은 “시중은행 띠지”라고 반박했지만, 수사팀은 정치권으로 자금이 흘러들어간 정황을 포착했습니다.
2. 관봉권이란 무엇인가?
관봉권은 한국은행이 검수한 지폐로, 조폐공사에서 제조된 ‘신권’과 금융기관에서 수납 후 검수된 ‘사용권’으로 나뉩니다. 특히 사용권은 5천만 원 단위로 비닐 포장되며, 일반 시중은행 띠지와는 구분됩니다. 관봉권의 존재는 자금의 출처와 신뢰성을 높이는 동시에, 조직적 자금 운용의 단서를 제공합니다.
3. 정치권과 통일교의 연결고리
권성동 의원이 통일교 총재로부터 쇼핑백을 수령했다는 진술은 정치자금 유입 의혹을 강화합니다. 윤영호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은 “금품은 총재의 비밀 금고에서 나왔다”고 진술했으며, 이는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이어졌습니다.
4. 종교단체 자금 운용의 불투명성
대형 종교단체는 자산 신고 의무를 회피하거나 단식부기를 통해 외부 감사를 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종교인 과세 특례로 인해 자금 흐름을 파악하기 어려우며, 국고보조금의 사용처도 불명확한 경우가 많습니다.
5. 일본 사례와 한국의 시사점
아베 전 총리 피살 사건 이후 일본은 통일교에 해산 명령을 내렸습니다. 한국도 유사한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으며, 종교가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현실은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들 수 있습니다.
6. 제도 개선을 위한 제언
- 종교단체 회계 투명성 강화: 복식부기 의무화, 외부 감사 도입
- 자산 공개 및 국세청 신고 의무화
- 종교인 과세 특례 폐지 및 일반 비영리법인과 동일 기준 적용 이러한 제도 개선은 종교의 공공성과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하는 첫걸음이 될 것입니다.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