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결혼은 했는데 집이 없다? 그래서 요즘은 "청약은 꿈, 전세는 현실"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죠. 전세집을 구하려는 신혼부부를 위해 준비된 전세자금 대출 상품들을 종류별로 비교해드릴게요. 금리 혜택을 가장 많이 받을 수 있는 순서로 정리했습니다.
🏠 1. 신혼부부 전용 전세자금 대출 (주택도시기금)
- 대상: 혼인 7년 이내 또는 3개월 이내 결혼 예정자, 무주택 세대주
- 소득 요건: 부부 합산 연소득 7,000만원 이하 (맞벌이 8,500만원)
- 자산 요건: 순자산 3.37억원 이하
- 보증금: 수도권 4억원 이하, 기타 3억원 이하
- 대출 한도: 보증금의 80% 이내 (최대 3억원)
- 금리: 연 1.9% ~ 3.3% (자녀 수 따라 추가 우대 가능)
💡 최저 연 1.0%까지도 가능! 신혼부부라면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대출입니다.
🏡 2. 버팀목 전세대출 (주택도시기금 일반형)
- 대상: 무주택자, 연소득 5,000만원 이하 (신혼부부 7,000만원 이하)
- 자산 요건: 3.37억원 이하
- 대출 한도: 수도권 최대 3억원, 비수도권 최대 2억원
- 금리: 연 2.5% ~ 3.5%
- 우대금리: 최대 1.0%p 인하 가능 (지방 거주, 다자녀 등)
📌 자격이 약간 안 맞아도 고려해볼 수 있는 대안입니다.
🏙️ 3. 지자체 이자지원형 전세대출 (서울 등)
- 예시: 서울시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 지원 사업
- 소득 요건: 합산 1.3억원 이하, 무주택자
- 보증금: 최대 7억원, 대출 한도 3억원 (보증금의 90% 이내)
- 이자지원율: 1.0% ~ 3.0% (조건 따라 최대 +1.5%)
- 실질금리: 시중은행 대비 대폭 인하 효과
📌 해당 지역 거주자라면 꼭 확인! 별도 신청 필수!
🏦 4. 시중은행 신혼부부 우대상품
- 대상: 혼인 7년 이내 또는 결혼 예정자
- 우대금리: KB국민은행 0.15%p, 카카오뱅크 0.1%p 등
- 특이사항: 일부 직장인(공무원, 대기업, 교직원 등)은 자체 우대 가능
📌 일반 전세자금대출보다 조건이 좋을 수 있으니, 주거래 은행 상담은 필수입니다.
📊 5. 대출 전 체크리스트
✅ 소득, 자산 조건 충족 여부
✅ 지역별 지자체 혜택 존재 여부
✅ 자녀 수, 혼인 기간 등 우대 조건
✅ 주거래 은행 혜택과 사내 복지 여부
📎 정리하며
신혼부부를 위한 전세대출은 생각보다 종류가 많고, 각기 다른 장단점이 있습니다.
조건을 충족하면 연 1%대 대출도 가능하고, 이자 지원까지 받는다면 사실상 무이자에 가까운 혜택을 받을 수도 있죠.
그러니 대출 전에 꼭 본인 조건을 꼼꼼히 비교해보고, 은행도, 지자체도, 정부 상품도 잘 따져봐야 합니다. ✍️
반응형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신한지주 & 하나금융지주 투자 분석 – 2025년을 준비하는 전략 (13) | 2025.05.02 |
---|---|
💸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완벽 분석! 청년 근로자라면 꼭 알아야 할 이유 (20) | 2025.05.01 |
🌂 자영업자와 프리랜서를 위한 '퇴직금 보험'? 노란우산공제 제대로 알기 (30) | 2025.04.29 |
💥 “증여세 한도 몰라서 당했다?” 2025 부모·자녀 필독 절세 전략! (22) | 2025.04.28 |
💼 2년 만에 1,200만원? 청년내일채움공제, 이렇게 하면 됩니다! (12) | 2025.04.28 |